본문 바로가기

현재위치

home 홍보센터 새소식

우덕재단, '제4회 우덕 미래건축가상' 시상식 개최

등록일 :
2025.11.12
조회수 :
29
“시멘트”

한일시멘트가 운영하는 우덕재단이 지난 11월 12일 서울 서초구 한일시멘트 본사에서 '제4회 우덕 미래건축가상' 본선 심사 및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공모전은 런던 컬리지 대학교 건축사 교수인 아드리안 포오티의 저서 '콘크리트와 문화'를 주제로 진행됐다. 이 책을 읽고 건축과 도시 역사의 흐름 속에서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재해석한 건축 디자인을 제출하는 과제였다.

지난 7월1일부터 8월 31일까지 총 52개 작품이 출품됐다. 이 중 9개 팀이 본선에 진출해 작품 모형과 영상, 프레젠테이션을 선보이며 최종 순위를 다퉜다.

대상은 폐콘크리트 구조물을 해체 후 재조립하는 아이디어를 담아 '어번 쿼리(Urban Quarry)'란 작품을 출품한 이화여자대학교 박시영· 명지대학교 김지환 팀이 차지했다. 노후된 도시를 콘크리트 채석장으로 바라본 발상의 전환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작품은 본선 참가자들이 직접 투표해 선정하는 인기상에도 선정돼 2관왕을 차지했다.

최우수상은 '땅 속의 우주; 기억을 새긴 콘크리트'를 출품한 고려대학교 서이슬·남혜린 팀과 'Palimpsest'를 출품한 제주대학교 이재우 씨가 수상했다.

이날 시상식에선 △대상(1팀) 1000만원 △최우수상(2팀) 각 600만 원 △우수상(3팀) 각 400만 원 △장려상(3팀) 각 200만 원 등 총 4000만 원의 장학금이 수여됐다.

본선은 참가자들의 프레젠테이션을 심사위원들이 현장에서 평가한 후 점수를 집계해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심사위원으로는 2019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최우수상을 수상한 김수영 건축사, 2023 한국건축역사학회 작품상을 수상한 이치훈 건축사, 2016 뉴욕 신진건축가상을 수상한 이승택 건축사 등이 초빙돼 참가자들에게 전문적인 조언을 전했다.

한편, 우덕재단은 사회 각계각층의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자 지난 2022년부터 '우덕 미래건축가상'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다.

목록

퀵메뉴

상위로